대제학 선조

본문 바로가기

방문자수

오늘 38
어제 183
최대 579
전체 92,726
전체
메뉴

대제학 선조

HOME > 대제학 선조

대제학 선조

대제학(大提學) 선조

 

문형이란 조선조에서 예문관(藝文館), 홍문관(弘文館), 집현전(集賢殿)에 제학(提學) 대제학(大提學)을 두었는데, 조선 때에는 제학이 되는 것을 문학인 또는 문관 출신 관원의 최고 영예로 알았으며 제학의 장(長)인 대제학은 문한계(文翰界)의 주권자라 하여 주문(主文), 전문형(典文衡), 문형(文衡) 등의 칭호를 받았다.

제학 및 대제학은 모두 타직을 겸임할 수가 있고 특히 대제학은 본인이 사퇴하기까지는 종신직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학문 도덕의 최고 능력자라 일반인의 존경을 받았다.

 

대제학은 정2품으로서 이의 임명은 전임자가 추천을 하는데 학문과 도덕이 뛰어난 데다가 그 가문에 결함이 없는 석학(碩學), 석유(碩儒)를 추천하면 삼정승(영의정, 좌ㆍ우의정), 좌우찬성(左右贊成), 좌우참찬(左右參贊), 육조판서(六曺判書) 그리고 한성부윤(漢城府尹)이 참석한 자리에서 다수결로 결정하기 때문에 영의정은 왕 1인에게 잘 보이면 영의정의 자리에 오르지만 대제학만은 아무나 될수가 없었다. 따라서 대제학은 정말 대단한 벼슬인데 우리 순흥안씨는 17분에 달하는 대제학이 나왔다 이 대제학을 전부 여기에 열거하고 다만 그동안 설명이 안 된선조만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문 형(文 衡)

시 호

휘(諱)

세파(派)

1

수문전태학사(修文殿太學士)

문성공(文成公)

향(珦)

4세 1파

2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의공(文懿公)

문개(文凱)

5세 2파

3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

문숙공(文淑公)

목(牧)

6세 1파

4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

문정공(文貞公)

축(軸)

6세 3파

5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경공(文敬公)

보(輔)

6세 3파

6

보문관대제학(寶文館大提學)

 

집(輯)

6세 3파

7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혜공(文惠公)

원숭(元崇)

7세 1파

8

집현전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간공(文簡公)

종원(宗源)

7세 3파

9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도공(良度公)

경공(景恭)

8세 3파

10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종약(從約)

9세 1파

11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노생(魯生)

9세 1파

12

수문관대제학(修文館大提學)

정숙공(靖肅公)

순(純)

9세 3파

13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구(玖)

10세 1파

14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숙공(文肅公)

숭선(崇善)

10세 3파

15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지귀(知歸)

11세 1파

16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지(止)

12세 1파

17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종도(宗道)

15세 1파

 

 

1) 예문관대제학 안종약(安從約)

공은 시조공의 9세로서 경질공 안원의 맏 아드님으로 1388(우왕 14, 무진)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조에서 이조참의로 임명되었으나 불사이군으로 취임하지 않으셨고 해주목사도 취임하지 않으셨다. 그래서 두문 72현으로 계시다가 1442(세종 24, 임술)년 70세를 수하시고 돌아가시니 정헌대부 이조판서 겸 예문관, 홍문관, 대제학에 추증되었고 후에 순흥 용연사와 개성 표절사, 광주 경현사에 각각 배향되었다. 공은 슬하에 구(玖), 경(璟), 수(琇), 리(理) 4형제를 두셨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야동동에 있다.

 

2) 대제학 안노생(安魯生) 선조

공은 시조공의 9세로서 죽성군 安元衡의 장손으로 호는 춘곡(春谷) 또는 죽계(竹溪)라 했다. 11376(우왕 02, 병진)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사인(門下舍人) 경기관찰(京畿觀察)을 거쳐 군자소윤이 되었다. 당시 서북 국경지대에서는 금, 은, 말, 소, 베 등을 가지고 요동 심양 등지에서 밀무역을 하는 사람이 많았음으로 1392년 서북면 찰방별감에 임명되어 그 밀무역 괴수 10여명을 사형에 처하는 등 엄격히 죄를 다스리고 화물을 몰수하고 이를 막지 못한 지방 관리들도 엄히 문책하여 그 기강을 바로잡아 밀무역을 근절시켰다.

한때 정몽주가 시해된 후 그 일파로 몰려 유배된 적도 있었으나 곧 석방되었다. 태조 때 경상도 안렴사 좌사간 등을 지내고 예조참의로 명나라에 갔다가 1408(태종 08, 무자)년 귀국했다. 410(태종 10, 경인)년에는 여러 관직을 거쳐 자헌대부, 이조판서,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 겸 경연 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추증되셨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군 조리면에 있다.

 

3) 대제학 안지귀( 安知歸) 선조

공은 시조공의 11세로써 참찬공파의 파조 구(玖)의 맏 아드님으로 11432(세종 14, 임자)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의 검열, 수찬, 교리를 거쳐 필선 검상, 사인직학 경연검토관을 역임했고 가선대부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전주부윤에 이르렀다. 돌아가신 후 자헌대부 의정부 좌참찬으로 추증 되시고 또 숭정대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오위도총부 도총관 세자이사로 가증되었다. 슬하에 5형제를 두었는데 모두 훌륭한 인물들이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리 율동에 있다.

 

4) 대제학 안종도(安宗道) 선조

공은 시조공의 15세로서 참판공파의 파조이신 종신(從信)의 6대 손으로 자는 관부(貫夫)이고 호는 세한재(歲寒齋)이시다. 1555(명종 10, 을묘)년 문과에 급제하고 한원(翰苑)을 거쳐 삼사전랑을 지냈으며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셨다. 1600(선조 33, 경자)년 79세를 수 하시고 돌아가시니 자헌대부 이조판서,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을 추증 받았다.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건천면에 있다.


Copyright ⓒ 순흥안씨찬성공파종회 Corp. All Rights Reserved.
수단 이메일 :  shcan21@naver.com
수단 우편 주소 :  서울 영등포구 양산로 57-5 이노플렉스 704호  (우)07271
수단 전용 팩스 :  02-2633-4167
수단비 입금계좌 :  농협 301-0265-8092-71  예금주 순흥안씨찬성공파종회
제작 : 뿌리정보미디어 02)716-1521, 716-0790  www.yesjokbo.com